728x90
개발하다가 에러 너무 많이 봐서 미쳐버릴 것 같아서 이 글 씀.
나중에 또 같은 거 디버깅하면서 구글링 하기 싫어서, 정리해둔다.
HTTP 상태 코드 중에서 특히 에러 코드(4xx, 5xx) 중심으로.
실제 어떤 상황에서 왜 뜨는지, 어떻게 해결할지 간단하게 적음.
4xx: 클라이언트 잘못 (Client Error)
클라이언트가 뭘 잘못해서 생기는 에러. 주로 프론트에서 API 호출할 때 많이 뜬다.
요청 자체가 틀렸거나, 권한이 없거나, 잘못된 URL 요청 등.
상태코드 | 의미 | 설명 |
400 Bad Request | 잘못된 요청 | 요청 포맷 이상하거나, 필수 값 빠졌거나. |
401 Unauthorized | 인증 필요 | 로그인 안 했거나 토큰 누락. Authorization 헤더 빠졌을 확률 높음. |
403 Forbidden | 접근 금지 | 권한 있어도 이 리소스는 안 됨. 예: 관리자인데 일반 사용자 페이지 접근 같은 거. |
404 Not Found | 못 찾음 | URL 잘못됐거나, 해당 리소스 없음. |
408 Request Timeout | 시간 초과 | 요청 보내고 응답 대기하다 타임아웃. 네트워크 문제거나, 서버가 느림. |
409 Conflict | 요청 충돌 | DB 중복 요청, 예: 이미 존재하는 이메일로 회원가입. |
413 Payload Too Large | 요청이 너무 큼 | 업로드 파일 너무 클 때 자주 발생. 서버에서 제한 걸려 있음. |
414 URI Too Long | URL이 너무 김 | GET 요청에 쿼리 스트링 엄청 붙였을 때 터짐. |
5xx: 서버 잘못 (Server Error)
이건 클라이언트 잘못이 아님. 서버가 뭔가 제대로 못해서 발생함.
백엔드 로그 꼭 봐야 해결 가능.
상태코드 | 의미 | 설명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 내부 에러 | 진짜 이유 모를 때 뜸. 에러 핸들링 안 돼있거나 예외 터짐. |
501 Not Implemented | 구현 안 됨 | API 스펙은 있지만 서버 쪽에서 아직 구현 안 되어 있음. |
502 Bad Gateway | 게이트웨이 에러 | 서버가 다른 서버로 요청했는데 거기서 응답이 이상할 때. |
503 Service Unavailable | 서버 사용 불가 | 서버 터졌거나 점검 중. 트래픽 몰려서 과부하도 원인. |
504 Gateway Timeout | 게이트웨이 타임아웃 | 서버가 다른 서버에서 응답을 못 받아서 발생. 백엔드 API 지연 가능성 큼. |
- 4xx → 요청 보내는 쪽(프론트)이 문제
- 5xx → 서버(백엔드)가 문제
개발하다가 axios나 fetch로 호출할 때 에러 터지면,
무조건 상태 코드부터 보고 로그 찍어야 함.
특히 API 명세서 맞게 보냈는지, 인증/토큰 들어갔는지 꼭 확인할 것.
상태코드 빠른 요약표
상태코드 | 의미 | 설명 |
200 OK | 정상 처리 |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됨 |
301 / 302 | 페이지 이동 | 리다이렉션 (URL 이동) |
400 | 요청 오류 | 클라이언트 쪽 요청 오류 |
401 | 인증 안 됨 | 로그인 필요 또는 토큰 누락 |
403 | 접근 금지 | 권한 있어도 접근 금지됨 |
404 | 없음 | 페이지 또는 리소스 없음 |
500 | 서버 터짐 | 서버 내부에서 에러 발생 |
503 | 서버 쉬는 중 | 서버 과부하 또는 점검 중 |
728x90
'웹개발 > Ne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t.js App Router에서 MUI 쓰면 생기는 'Hydration failed' 에러 해결방법 (with Emotion 설정) (0) | 2025.04.10 |
---|---|
Next.js에서 Axios로 JWT 토큰 인증 API 호출하기 (0) | 2025.03.28 |
Next.js의 App Router와 Page Router 차이점, 무엇을 쓰는게 좋을까요? (1) | 2025.01.27 |
React(리액트) vs Next.js(넥스트) 무엇을 써야하나요? (0) | 2024.07.31 |
Next.js로 웹사이트 라우팅 완벽 가이드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