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연결형 트랜스포트 : UDP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UDP란 무엇인가?UDP(User Datagram Protocol)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로, 비연결형이고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 최선형 서비스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빠르고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혼잡 제어나 오류 제어 같은 복잡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UDP의 주요 특징비연결형: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별도의 연결 설정 과정(핸드셰이킹)이 필요하지 않으며, 각 데이터그램은 독립적으로 처리됩니다.손실 가능성: 데이터가 전송 중에 손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의 순서가 바뀔 수 있습니다.RTT 지연 없음: 연결 설정 단계가 없으므로, **RTT(Round Trip Time)**로 인한 지연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작은 헤더 크기: TCP보다 ..
다중화와 역다중화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다중화와 역다중화란?다중화(Multiplexing)는 하나의 전송 매체에 여러 신호를 함께 결합하여 전송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 명이 한꺼번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각각의 신호를 결합해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보내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리소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다중화는 네트워크나 전송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며, 송신 측에서 여러 프로세스의 데이터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묶어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반면, 역다중화(Demultiplexing)는 수신 측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다시 분리하여 각각의 프로세스나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과정입니다. 다중화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적절한 프로세스로 나눠야 하므로, 각 데이터에는 이를 구분할 수 있는 포트..
트랜스포트 계층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트랜스포트 계층이란 무엇일까?트랜스포트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 중 하나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간의 논리적인 통신을 제공합니다. 쉽게 말해,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돕는 계층입니다.이때 트랜스포트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과 함께 작동하는데, 네트워크 계층이 호스트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반면, 트랜스포트 계층은 호스트 내부 프로세스 간 통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트랜스포트 계층은 호스트 간 논리적인 통신 외에도, 각 호스트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트랜스포트 프로토콜: TCP와 UDP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은 TCP(Transmission ..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 가상화,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스토리지
·
전공 공부/클라우드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대 IT 인프라의 중심에 있으며, 그 기반 기술로서 가상화,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스토리지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필수적인 기반 기술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각 기술이 어떻게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가능하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필수 요소가상화(Virtualization)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입니다. 물리적인 자원을 가상화하여, 여러 개의 가상 머신(GuestOS)을 운영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가상화 기술 덕분에 우리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죠.가상화의 장점:통합 관리: 여러 가상 머신을 단일 물리 서버에서 관리하여 하드웨어 자원 사용률을..
전자 메일 시스템 완전 정복: SMTP, POP3, IMAP 이해하기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 전자 메일 시스템 이해하기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이메일 서비스는 다양한 프로토콜과 서버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자 메일 시스템의 기본 요소와 이를 구성하는 주요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전자 메일 시스템의 3가지 주요 요소전자 메일 시스템은 세 가지 중요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사용자가 직접 이메일을 작성하고, 전송하고, 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웃룩, 스마트폰 이메일 앱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사용자는 이 에이전트를 통해 메일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메일 서버(Mail Server)메일 서버는 사용자가 보낸 메일을 보관하고, 다른 서버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버 간 메일 전송은 S..
P2P 파일 분배와 비디오 스트리밍: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의 비밀📁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스트리밍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P2P 파일 분배와 비디오 스트리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2P 파일 분배란 무엇인가?P2P(Peer-to-Peer) 파일 분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만 데이터를 주고받는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릅니다. P2P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피어(peer)들이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즉,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 다른 피어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오며, 동시에 자신이 받은 데이터를 다른 피어에게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 P2P vs 클라이언트-서버 모델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는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므로, 서버의 업로드 속도가 시스템 성능의 병목이 될 수 있습니다.P2P 모델에서는..
DNS: 인터넷의 주소록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안 도메인 이름(www.example.com)과 IP 주소(192.168.0.1) 간의 변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했던 적 있나요? 그 답은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에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NS의 기본 개념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NS란 무엇인가?DNS는 인터넷의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전화번호부처럼,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해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 DNS의 계층 구조DNS는 중앙 집중화된 시스템이 아닌,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입니다. 이렇게 분산된 구조 덕분에 트래픽 분산과 빠른 응답이 가능하..
웹과 HTTP: 인터넷의 뼈대를 이해하다
·
전공 공부/컴퓨터네트워크
우리가 매일 접하는 웹페이지들은 어떻게 동작할까요? 그 답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라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오늘은 이 HTTP의 원리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웹의 구조와 HTTP웹페이지는 다양한 객체(서버, 클라이언트)로 구성됩니다. 기본적으로 HTML 파일이 핵심이며,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 Java 애플릿 등 다양한 객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웹페이지는 고유한 URL로 식별됩니다.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웹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브라우저(클라이언트)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따라 HTML 파일이나 기타 리소스를 반환합니다. 이 과정에서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